728x90
728x90
SMALL
리터럴과 연산자
- 리터럴
ο int x = 2
■ x는 변수
■ 2는 리터럴
ο “My name”
■ 이런 문자열도 리터럴 - 연산자
ο a + b
■ a,b는 피연산자
■ +는 연산자
ο 단항 : 피연산자 1개
ο 이항 : 피연산자 2개
ο 삼항 : 피연산자 3개
■ ) : 참 : 거짓
기본적인 서식 맞추기
컴퓨터는 빈칸을 무시한다.

선언과 정의의 분리
- 컴퓨터는 순서대로 앞부터 읽어서
ο main안에서 쓰이는 함수의 정의가 main 뒤에 있으면
■ 컴퓨터 입장에선 모른다.
int main()
{
f(); // 정의가 뒤에 있어서 main 입장에선 이 함수가 어떤 함수인지 모름
}
void f()
{
std::cout << "love" << std::endl;
}
- 따라서 함수의 프로토 타입을 앞에 적고 정의를 뒤에 적어주자.
ο void f) ;
void f();
int main()
{
f(); // 정의는 뒤에있더라도 이제 무슨 함수인지 앞에서 알게 됨
}
void f()
{
std::cout << "love" << std::endl;
}
728x90
300x250
LIST
'C │ C++ │ C# > C++' 카테고리의 다른 글
C++ Chapter 1.5 : 네임스페이스, 전처리기 | 2023.08.12 |
---|---|
C++ Chapter 1.4 : 컴파일, 헤더 파일 만들기, 헤더 가드가 필요한 이유 | 2023.08.12 |
C++ Chapter 1.2 : 키워드 식별자 이름 짓기, 지역 범위 | 2023.08.11 |
C++ Chapter 1.1 : 변수, 입출력스트림, 함수 | 2023.08.10 |
C++ Chapter 0 : 시작해봅시다. | 2023.08.10 |